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삼성전자 2025년 HBM 및 반도체 사업 전망
📌 삼성전자, HBM3E 개선 제품 공급 & HBM4 양산 목표
✅ HBM3E 8단 & 12단 양산 → 1분기 말 주요 고객사 공급 예정
✅ HBM4 (1c 나노 기반) 2025년 하반기 양산 목표
✅ HBM3E 16단 샘플 제작 완료 → 고객사 테스트 진행 중
✅ HBM3E & HBM4 개발 로드맵
HBM 버전특징양산 시기
HBM3E (8단·12단) | 기존 HBM3 대비 성능 개선 | 2023년 3분기부터 양산 |
HBM3E 개선 제품 | GPU 및 데이터센터 최적화 | 2024년 1분기 말 공급 |
HBM3E (16단 샘플) | 기술 검증 목적, 상용화 미정 | 2024년 고객사 테스트 진행 중 |
HBM4 (1c 나노 기반) | 6세대 HBM, 성능·전력 효율 대폭 향상 | 2025년 하반기 양산 목표 |
✅ 삼성전자 4분기 실적 요약
💰 반도체 사업 영업이익: 2조 9000억 원
📉 DX(스마트폰) 사업 영업이익: 2조 3000억 원
💰 전체 매출: 75조 7883억 원 (전년 대비 4% 감소)
📈 연간 영업이익: 32조 7260억 원 (+398.34%)
📈 연간 순이익: 34조 4514억 원 (+122.45%)
✅ AI 반도체 시장 확대 속에서도 기대만큼 성과 부족
✅ 메모리 반도체 판매 증가했으나, 범용 메모리 시장 침체
✅ 중국 저가 제품 공세 속 스마트폰 신모델 효과 감소
📌 2025년 삼성전자 반도체 전략 및 전망
🔹 HBM3E → HBM4 전환 가속화
🔹 AI·데이터센터용 메모리 제품 확대
🔹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전략 강화 (미국 반도체 수출 규제 고려)
🔹 생산 역량 및 글로벌 공급망 최적화
👉 AI 및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에 대응하며, 기술 리더십 확보 전략 지속!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