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뉴욕증시 4일 연속 상승 S&P500·나스닥 강세, 테슬라·엔비디아 급등
뉴욕증시가 25일(현지시간) 3대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하며 4거래일 연속 강세를 기록했다.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혼재된 소식 속에서도 시장은 최악의 관세 국면은 지났다는 낙관적 전망에 주목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 뉴욕증시 마감 시황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40,113.50 (+0.05%)
- S&P500 지수: 5,525.21 (+0.74%)
- 나스닥 종합지수: 17,382.94 (+1.26%)
🔍 미·중 무역협상 불확실성 속 낙관론 우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타임지 인터뷰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과 통화했으며, 3~4주 내 협상안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측은 해당 발언을 부인하며 양국 간 협상의 실재 여부에 대한 혼란이 지속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은 관세 정책의 정점은 지났다는 점에 주목, 실질적인 협상 진전 없이도 시장은 상승 흐름을 보였다.
제이 해트필드(인프라캡 창립자):
“우리는 관세 인상의 정점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며, 시장은 앞으로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
📈 업종별·종목별 주요 움직임
- 기술주·임의소비재·통신서비스: 1% 이상 상승
- 엔비디아(NVDA): +4.3%, 중국 협상 기대감 수혜
- 테슬라(TSLA): +9.8%, 머스크 ‘DOGE 활동 중단’ 발언 이후 급등
- 알파벳(GOOGL): +1% 이상, 예상치 웃돈 1분기 실적 발표
- 팔란티어(PLTR): +4.6%, 주간 상승률 20% 기록
- T모바일(TMUS): -11%, 무선 가입자 수 예상치 하회
- 인텔(INTC): -6.7%, 1분기 실적 부진 지속
🧠 미국 소비자심리지수·기업 실적 동향
- 미시간대 4월 소비자심리지수: 52.2 (전월 대비 -8.4%)
- S&P500 기업 실적:
- 평균 순이익: 예상치 대비 +7%
- 평균 매출: 예상치 대비 +1%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기업 실적이 예상을 상회하면서 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 금리 전망 및 시장 변동성
- CME 페드워치툴:
- 6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 34.7%
- 25bp 금리 인하 가능성: 60.6%
- CBOE 변동성 지수(VIX):
- 24.84 (-6.16%)
반응형